<목록>
1. VM 설치
2. 리눅스<우분투ver.18.04> 설치(VM위에)
3. git설치
4. APM설치
5. index.html 수정
- Install Ubuntu on virtual machine and run it
Window를 OS로 쓰고 있기 때문에 OS를 리눅스로 바꾸는 것 말고 다른 방법으로 리눅스를 쓰기 위해서는 VM(Virtual Machine)을 이용해서 리눅스를 깔아야 한다.
1. VM 설치
https://www.vmware.com/kr.html
데스크톱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위한 VMware 가상화
Reddit의 공동 설립자에게 묻는 20가지 질문 Alexis Ohanian으로부터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웹 사이트의 제작 배경, 그의 다음 중대 과제인 가상 화폐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그의 시각을 알아봅니다. 비디오 보기
www.vmware.com
위의 사이트에서 VM ware를 다운 받을 수 있다.
위의 순서로 진행한다. 나의 PC는 window 64bit 이므로 위의 VMware를 설치하겠다.
각자의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다운받으면 된다.
자세한 설치 안내는 아래의 블로그를 참고하라.
VMware Workstation 14 다운로드&설치방법
오늘은 VMware Workstation 14 의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아래의 링크...
blog.naver.com
실행화면에서, 우측에 보이는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통해서 원하는 os를 설치 할 수 있다.
필자는 리눅스 우분투를 설치했기 때문에 좌측에 우분투 64bit가 보인다.
VM을 유용하게 쓰는 이유 중 하나는 개발자들이 다양한 OS 환경에서 자신의 프로그램을 실험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위의 이미지에는 한개의 OS만 있지만 훨씬 더 많은 가상 컴퓨터를 VM을 통해서 설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리눅스를 다운받아 VM에 올리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우리는 리눅스의 가장 안정적인 운영체제 중 하나인 우분투를 설치할 것이다.
리눅스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우분투 리눅스가 널리 퍼지게 된 계기는, 설치 및 유지보수가 까다로웠던 다른 리눅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사용자 편리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며, 오픈 소스라는 특징으로 인해 누구나 무료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래의 우분투 다운로드 페이지에 들어가서 다운 받을 수 있다.
우리는 18.04 버전을 사용할 것이다.
https://www.ubuntu.com/download/desktop
Download Ubuntu Desktop | Download | Ubuntu
Ubuntu 18.04.2 LTS Download the latest LTS version of Ubuntu, for desktop PCs and laptops. LTS stands for long-term support — which means five years, until April 2023, of free security and maintenance updates, guaranteed. Ubuntu 18.04 LTS release notes Rec
www.ubuntu.com
우분투를 설치했다면 VM에 우분투를 깔아보자.
새로운 가상머신을 추가한다.
자세한 설치 과정을 아래의 블로그를 참조하라.
https://gsmtc-blog.blogspot.com/2018/07/how-to-ubuntu-1804-lts-vmware.html
[How-To] Ubuntu 18.04 LTS VMware로 설치하기
당신의 생활을 보다 가치있게 하는 ICT 소식 및 정보 제공
gsmtc-blog.blogspot.com
우분투를 실행시키면
위의 이미지처럼 나오게 된다.
VM위에 리눅스를 OS로 하는 컴퓨터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 Open Terminal and login peace.handong.edu with ssh
우클릭을 하게 되면 open Terminal이 뜬다.
ssh <주소>명령어를 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다른 서버에 있는 계정에도 접근할 수 있게 된다.
- Install git
git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설치할 수 있다.
Git - Documentation
Documentation Reference The official and comprehensive man pages that are included in the Git package itself. Quick reference guides: GitHub Cheat Sheet (PDF) | Visual Git Cheat Sheet (SVG | PNG) Book Videos Length: 05:59 Length: 04:26 What is Git? Lengt
git-scm.com
git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를 통해서 자세하게 설치 방법을 알 수 있다.
https://git-scm.com/book/ko/v2/%EC%8B%9C%EC%9E%91%ED%95%98%EA%B8%B0-Git-%EC%84%A4%EC%B9%98
Git - Git 설치
이 책은 Git 2.0.0 버전을 기준으로 썼다. 대부분의 명령어는 그 이전 버전에서도 잘 동작하지만, 몇 가지 기능은 아예 없거나 미묘하게 다를 수 있다. Git의 하위 호환성은 정말 훌륭하기 때문에 2.0 이후 버전에서는 잘 동작한다.
git-scm.com
- sudo apt install git
다음으로는 우분투에 git을 설치하도록 하자.
sudo는 일종의 접근 권한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root관리자가 아니기 때문에 sudo명령어를 통해서 접근권한을 얻는다.
apt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도구이다. 각종 설치 파일을 관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 Install apache + php + mysql
APM(apache + php + mysql)을 간략하게 알아보자. 굳이 세개의 조합을 쓰는 이유는 가장 문제가 없는 조합이기 때문이다. 성능도 좋다.
각각 설치 해야하는데 순서대로 apache2부터 설치해보자.
설치 하기 전에 sudo명령어를 쓸 필요없이
APM을 설치하는 과정을 매우 간단하다.
아래의 명령어만 입력하게 되면 간단하게 설치가 된다.
이러한 패키지 단위로 설치가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apt이다.
설치 중간 중간에 나오는 질문에는 y or yes로 답을 해주면 계속 설치를 진행한다.
- Check apache server running
설치 후 firefox를 통해서 localhost에 들어가서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sudo nano /var/www/html/info.php
명령어를 통해서 파일을 수정하고 localhost/info.php에 들어가게 되면
이처럼 필자가 수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PHP가 잘 작동한다는 의미이다.
파일을 수정할 때,
이런 내용을 넣게 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자세한 설치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https://webnautes.tistory.com/1185
Ubuntu 18.04에 LAMP ( Apache2, MySQL , PHP 7) 설치하는 방법
Apache2 웹서버,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 PHP를 Ubuntu에 설치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LAMP는 운영 체제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스택의 조합으로 Linux, Apache, MySQL, PHP의 첫글자만 가지고 만든 약어입니..
webnautes.tistory.com
- Run apache server deamon
- Modify index.html & check it
localhost에 나오는 html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위의 디렉토리로 들어가 vim 명령어를 통해서 index.html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필자의 이름인 Yondu를 html파일에 넣어보겠다.
위의 형광펜 칠한 부분에서 필자가 넣고 싶었던 워딩이 들어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DNS 서비스 원리와 가동되는 단계에 대해 실제 사례를 찾으며 정리해보자.
인터넷을 이용하여 검색이나 웹 서핑, 이메일 등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도메인 이름을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입력하고 해당 데이터를 요청한다. 즉, 실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는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로 통신하지만 사용자는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화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시스템이 DNS(Domain Name System)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는 최상위에 루트 DNS서버가 존재하고 그 하위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노드가 연속해서 이어진 계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PC에서 일반적으로 쓰는 디렉토리 구조와 유사하다고 말 할 수도 있다. 각레벨의 도메인이 그 하위 도메인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구조이다.
DNS는 여러가지로 활용되고 있는데 특별히 해킹시도와 관련하여 카카오는 Anycast DNS를 통해서 그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http://tech.kakao.com/2014/05/29/anycast/
kakao의 Anycast 활용 사례
Overview 네트워크 기술 하나 중 Anycast 는 DNS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KAKAO는 Anycast 기술을 확장하여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서버에서 Quagga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KAKAO 자체 망을 이용한 각 글로벌 POP 에 비용 절감 및 고 가용성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tech.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