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호스팅 Virtual Host 세팅 방법 (feat. CMS)
CMS는 Content Management System의 약자이다.
CMS는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가장 많이 이용하는 형태는 블로그 소프트웨어이다.
다양한 종류의 CMS가 있는데 크게 국내와 해외의 유명 CMS를 알아보자.
<국내>
Xpress engine :제로보드 (객체지향으로 바꾸면서 사람들이 안쓰기 시작) , 네이버가 오픈소스를 지원해서 다시 태어난 오픈소스 플랫폼. 잘나갔으나 10년전부터 쇠락. 무료지원이고 많은 사람들이 쓰다보니 보안상 해킹의 문제가 늘 존재한다.
KimsQ(올해 초 해킹사고로 인해 현재는 서비스 중지)
KimsQ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해킹에 대한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좋은 CMS 쓰는 목적 중 하나도 바로 이러한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웹호스팅을 위해서이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37886
킴스큐 CMS, 웹셸 생성 가능한 취약점 발견
국내 PHP 기반의 CMS인 킴스큐에서 웹서버에 웹쉘을 생성할 수 있는 CSRF 취약점이 발견돼 주의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취약한 버전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해킹에 의한 홈페이지 변조, 관리자 권한 탈취,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 파괴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웹 관리자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www.boannews.com
<해외>
wordpress : 블로그나 쇼핑몰 등 중소 규모의 웹사이트를 만드는데 적합
Drupal : 맞춤형 웹사이트 제작에 유리
Joomla
웹사이트 만들 때 처음부터 모든걸 새롭게 만들면 너무 많은 노력이 든다.
CMS를 이용하면 커스터마이징만 하면 되도록 했다.
앞으로 필드에서 무엇을 만들더라도 플랫폼을 염두에 두고 만들면 그것이 자산이된다.
사용자들이 스스로 커스터 마이징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중요해졌다.
워드프레스, 드루팔, 줌라 세개 중 한개는 잘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젤 쉬운건 워드 프레스!( 워드프레스로 만든 것 중 우리나라에서 젤 크게 만든건 서울시홈페이지)
웹 호스팅 Virtual Host 세팅 방법
- 3개의 사용자 계정을 만든다.
adduser 명령어를 사용한다. useradd와의 차이점은 디렉토리를 만들어주느냐의 차이가 가장 크다. 다시 말해, useradd는 관련 설정을 일일이 다 해주어야 하지만, adduser는 자동으로 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adduser와 useradd와의 차이는 아래의 블로그에서 자세히 확인 할 수 있다.
https://kit2013.tistory.com/187
useradd와 adduser의 차이
OS - Ubuntu 14 useradd는 사용자 홈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안함 + 기타 등등 adduser는 홈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함 + 기타 등등 우선 test1 계정을 생성해주고 패스워드도 설정했다. sudo useradd test1 / s..
kit2013.tistory.com
- name-based virtual host 세팅 (도메인 이름으로 구분)
- mysql -u <username> -p를 통해서 database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아래 html 폴더 생성
- Virtual host 설정 파일 생성
1. /etc/apache2/sites-available/kim.com.conf 만들기
이 파일에 루트를 설정해주게 되는 것이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게 되었을 때 해당 DocumentRoot html의 index.html이 실행되게 되는 것이다.
2. a2ensite kim.com
a2ensite 명령어로 해당 도메인 VirtualHost를 활성화시켜 줍니다.
3. service apache2 reload
수정한 파일을 등록하기 위해서 서비스를 reload한다.
필자가 만든 사이트는 총 3개이다.
각각 daum.com / drupal.com / education.com이다.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자.
가상호스트의 세부 사례를 아래의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ebdir.tistory.com/213
[Ubuntu] 우분투 Apache(아파치) VirtualHost 예제 - 가상호스트
우분투 Apache의 VirtualHost(가상호스트)의 일례를 소개합니다. 이 글은 DigitalOcean에 소개된 내용을 토대로 몇가지 살을 붙여 작성하였습니다. VirtualHost(가상호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세가지 방법이..
webdir.tistory.com
- 각 사용자 계정에 홈페이지용 디렉토리(html) 밑에 Wordpress 세팅
https://jimnong.tistory.com/746
[우분투 18.04 데스크톱] LAMP :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 정리
우분투 18.04 LTS 데스크톱에서 LAMP(Linux / Apache / MariaDB(MySQL 대신) / PHP 설치하는 과정을 모두 정리했습니다. 칼을 뽑았으면 무라도 썰어야죠.^^ 설치형 블로그인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해..
jimnong.tistory.com
- 3개의 도메인 별 작동 테스트
- 각각 다른 워드프레스 테마 적용
https://mainia.tistory.com/2533
워드프레스 테마 설치 및 변경하기
워드프레스 테마 설치 및 변경하기 워드프레스의 가장 기본기능인 테마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테마는 관리자 페이지에서 추가하거나 구글에서 검색한후 파일을 다운받아 업로드로 설치할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mainia.tistory.com